지역환경개선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연구 GGEC가 앞장서 가겠습니다.

용인시 석성산 자연경관 조사사업

연구사업구분 환경정책연구 고유번호 04-1-70-71
연구기간 주관기관 용인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웅빈
연구목적 요 약 문


Ⅰ. 제 목

『 용인시 석성산 자연경관 조사사업 』


Ⅱ.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가. 연구의 목적
석성산은 용인시에서는 비교적 높은 산으로 자연 환경이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으므로, 이 지역을 용인시의 대표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식물상과 곤충상 중심의 동물상을 조사한다. 아울러 이 지역의 군집구조를 파악하여 생태적으로 파괴된 인근 지역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석성산은 용인시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인근의 산림지역과 쉽게 연계 지을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장기적으로 용인시를 생태도시로 만드는데 있어 생태 허브(hub)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나. 연구의 필요성
용인시는 동경 경기도 용인시는 동경 127°01′05″~127°25′50″, 북위 37°04′55~37°22′12″에 걸쳐 경기도의 남부에 위치하며, 전형적인 온대기후대의 특성을 지닌다. 2003년 현재 용인시의 면적은 592㎢로 전국토의 0.59%에, 경기도 면적의 5.8%에 해당하고, 인구는 551,234명으로 경기도의 인구의 약 5%로 경기도 내에서 비교적 인구밀도가 높지 않으나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동백지구 등 대단위의 아파트단지가 무분별하게 들어서고 있어 자연환경의 파괴는 물론 교통체증의 급격한 증가가 우려된다.
용인시의 산지는 광주산맥에서 갈라져 나온 4개의 지맥이 북남쪽으로 벋어 있고, 전체 면적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석성산(471m)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석성산은 용인시에서의 자연환경의 중심으로 생물지리학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석성산의 동.식물상을 지속적으로 보존, 관리하고 인근 산지와 연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 용인시는 쾌적한 생태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Ⅲ. 연구의 내용 및 범위
본 조사지역인 석성산을 대상으로 조사기간 중에 채집된 모든 표본을 근거로, 특정 식물 종을 포함하는 모든 관속식물의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다. 또한 인근 산지인 부아산과의 생태적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
조사경로는 계곡과 능선을 중심으로 선정하며, 관속식물의 표본은 조사경로를 따라 채집한 하나 내지 여러개의 중복품을 제작한다. 또한 모든 표본에 채집자 고유번호를 명기하고 동일 장소에서 같은 조사기간에 채집된 표본에는 같은 번호를 부여하여 중복품인 것을 확인하며, 중복품의 개수를 표기하여 표본의 혼동을 방지한다.
식물상의 목록은 Engler의 법식에 따라 배열하며, 종의 동정은 이(1980), 정(1958) 등의 도감을 참조한다.
그 밖의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의 목록 및 평가점수는 환경부의 조사지침서에 따라 조사하고, 특히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가운데 Ⅴ~Ⅲ등급의 식물은 따로 목록을 작성하여, Red book data 자료를 확보한다(환경부, 2002). 육상곤충은 Sweeping법, Beating법, Bate trap법을 이용하여 곤충상 목록을 작성한다.
이상의 식물상 및 곤충상 목록을 기초로 생태지도를 작성한다.
추후 9월중 1회의 추가 조사를 통해 곤충상 목록 및 조사지점간 군집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Ⅳ. 연구결과
본 조사지역에는 3강, 30목, 58과, 117속, 141종, 21변종, 2품종 등 모두164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개화기가 여름과 가을인 식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석성산에서 나타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은 3등급 3분류군, 2등급 3분류군, 1등급 5분류군 등 모두 11분류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역 별로 A지역은 천인사 뒤 마성터널 위로 소나무, 졸참나무 혼합림이며 교목층이 잘 발달한 음수림이나, 터널, 음식점 등 인간의 간섭에 의하여 식생이 상당히 파괴되어 있어 보호가 요망된다. B지역은 은성사 뒤 옛 군견훈련장이 있던 지역으로, 소나무, 졸참나무 혼합림이며 비교적 식생이 잘 보존되어 있으나, 돼지풀 등의 침입종 식물이 침투되어 있었다. C지역은 사격장 뒤의 주차장으로부터 통화사를 거쳐 정상부근의 헬기장까지의 지역으로 소나무림 및 졸참나무 군락(소나무, 졸참나무 혼합림)이며 교목층이 잘 발달한 음수림으로, 종다양성 측면에서 석성산의 핵심이 되는 지역으로 절대적인 보존이 필요한 지역으로 사료된다. D지역은 백령사 우측 능선길로 은대난초등과 같은 음수림 하에서 자라는 난과식물이 발견되었으며, 또한 보존이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다. E지역은 통화사에서 백령사에 이르는 지역으로 은대난초, 광대싸리, 맑은대쑥, 산딸기, 뱀무, 배초향 등이 관찰되었다.
각 지점별 곤충상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10목 50과 126종의 곤충이 조사되었다. A지점은 7목 31과 51종, B지점은 9목 37과 64종, C지점은 7목 18과 28종, D지점은 9목 32과 52종, 그리고 F지점은 8목 30과 4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는 B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 D지점들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백지구 완공 후 많은 사람들이 이 곳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되어 심각한 자연경관의 훼손이 우려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통화사 일대에서 B 지점으로 내려가는 군 도로 및 계곡일대는 자연생태지역으로 선정, 관리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며, A 지점 북쪽의 전원주택지화는 할미성터로 통하는 북쪽 생태통로의 단절을 가져와 석성산의 생태적 섬 (Ecological Island) 현상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더 이상의 훼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Ⅴ.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본 조사지역인 석성산의 식물 및 동물의 군집구조가 파악되어 생태지도가 작성되고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면, 이 지역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석성산의 생태공원화는 용인시의 생태도시화를 위한 중요한 척도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내용
활용계획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