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개선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연구 GGEC가 앞장서 가겠습니다.

(국문) 직접접촉여재(Bio-Concrete)를 이용한 도시 및 농촌지역의 소하천 직접정화법 개발(영문) The development of purification method with Direct Contact Media(Bio-Concrete) for small river of the urban and rural areas

연구사업구분 환경현안기술개발 고유번호 01-3-10-11
연구기간 주관기관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연구책임자 오종민
연구목적 우리 나라에 존재하는 소하천은 총 25,073 개소, 하천연장 38,862 km로 하
천 가운데 가장 그 수가 많다. 현재 소하천은 건천화가 진행되어, 단순한
하수 전달통로로서의 역할만을 하고 있고 친수기능을 상실한지 오래일 뿐
만 아니라 근래에 들어서는 지방자치단체들에 의해 재정확보와 도로확보
등을 위한 고수부지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경기도내
하수도 보급율은 70.5 %로 높은 편이나 미처리 인구수(2,573 천명)가 많
아 적지 않은 가정하수와 공장폐수가 직접하천으로 유입되어지고 있으나
이에 따른 도내 처리시설이 41개소로 턱없이 모자라는 형편이다.

이와 같은 어려운 상황에서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이점을 살릴 수 있
는 대책방안으로는 소하천 내 여재를 이용한 보 설치와 보 전이나 후의 하
상 일정부분을 여재를 이용·시공함으로써, 산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자연정화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질소, 인을 포함한 유기물 제거에도 효과
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천 및 소하천수, 농배수 등이 미처리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류로 유입 전, 여재를 이용하
여 하천에 맞는 적절한 공정을 개발·시공함으로써 자연에 가까운 자연정
화공법을 통해 생태계 보호와 친수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 하천 정화에 적용되어 온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이용한 공법들이 인위
적이고 자연과 친화되지 못하여 시공 후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하천을 인간의 생활 환경으로 인
식하는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하천의 이·치수뿐 아니라 수질정화와 함께
단절된 자연생태계의 회복과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 확보가 요구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재를 제조하여 현장에 적용, 하천의 자연정화
유도·촉진에 유리한 여재를 개발하고, 하천 환경에 적합한 공정을 개발하
여 정화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또한 강우를 고려하여 하천의 유량이 확보될 수 있는 지역(보의 전) 또는
하천으로의 유입 전 배수로 등에 본 공정을 적용·설치하거나, 갈수기 및
홍수기를 고려하여 보의 평수시 수위와 홍수시 수위 차를 이용한 투과성
공법을 적용시킬 여재 및 공정을 개발하여 본 연구의 문제점이 될 수 있
는 부분에 대해 보완책을 연구할 계획이다. 현장에 적용시 기존의 여러 공
법보다 식물이 쉽게 성장하고 유기물을 빠르게 흡수·흡착할 수 있는 여재
의 개발과 하천현장 적용의 연구를 통해 기존의 정수처리기술의 단점을 보
완하고 기존 자연정화 공법들의 개선책으로서의 기능도 담당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연구내용 직접접촉여재(Bio-Concrete)를 이용한 도시 및 농촌지역의 소하천 직접정화법 개발
활용계획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