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개선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연구 GGEC가 앞장서 가겠습니다.
| 
			 사업장 환경위해관리 전문인력 양성과정 안내  | 
		
| 
			 ◌ 화학물질로 인한 일반환경 및 산업환경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나타 날 수 있는 환경과 건강 위해성을 예측하고, 위해성관리의 우선순 위를 결정한 후 의사 소통 및 저감 대책을 수립·관리할 수 있는 역 량있는 전문인력양성  | 
		
□ 교육개요
○ 과정명 : 사업장 환경위해관리 전문인력 양성과정
◌ 교육(모집)기간 : 2022. 7.1∼ 8.31
◌ 교육대상 및 인원 : 30명(선착순 접수)
- 관련분야 청년 미취업자, 대학교 및 전문대학교 환경관련학과 졸업(예정)자
-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직원 등
- 환경위해관리기사 자격증 대비자
○ 교육비 : 무료(교재 신청 시 우편발송 또는 메일발송)
○ 교육방식 : 온라인교육플랫폼(http://gec-edu.kr) 활용 동영상 강의
○ 교육내용
- 유해성 확인 및 독성평가,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노출평가, 위해성 평가, 위해도 결정 및 관리
○ 신청방법 : 온라인 교육 플랫폼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 로그인: 센터 온라인교육플랫폼 수강신청 → 수강생인증 바로가기 입장 → 수강생 인증 후 로그인
- 교육생이 원하는 동영상 강좌를 선택 후 강의 시청
○ 수료증 발급 : 온라인 교육(참여율 100% 수강)
□ 세부교육내용
| 
			 
  | 
			
			 교육주제  | 
			
			 강 사(안)  | 
			
			 교육시간  | 
		
| 
			 제1강  | 
			
			 유해성 확인 및 독성 평가 1. 유해성 확인 2. 용량 반응 평가  | 
			
			 이권섭 선임연구위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4시간  | 
		
| 
			 제2강  |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1. 물질보건안전관리 2.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 
			
			 송병주 대표 (시앤에스 솔루션)  | 
			
			 4시간  | 
		
| 
			 제3강  | 
			
			 노출평가 1. 인체노출평가 2. 제품노출평가 3. 환경노출평가(공기, 음용수, 토양)  | 
			
			 김종철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안전연구센터)  | 
			
			 4시간  | 
		
| 
			 제4강  | 
			
			 위해성평가 1. 위해성평가 개요 2. 위해성평가 방법 3. 건강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서)  | 
			
			 김선미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안전연구센터)  | 
			
			 4시간  | 
		
| 
			 제5강  | 
			
			 위해도 결정 및 관리 1. 노출 및 위해성 저감 2. 위해성 소통 3. 관련 법규 이해하기  | 
			
			 김종운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화학안전연구센터)  | 
			
			 4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