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경개선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연구 GGEC가 앞장서 가겠습니다.
| 
			 반딧불이 서식지 조사 및 모니터링을 위한 
 지역활동가 양성 교육 과정 안내  | 
		
◇ 추진배경
○ 대표적인 환경오염 지표 곤충인 반딧불이가 서식하기 위해서는 소하천 및 주변의 생태환경이 청정하게 보전되어야만 함.
○ 수생태보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일환으로 반딧불이가 살 수 있는 생태 하천조성 을 위한 매개체로서 반딧불이 서식지 조사 및 모니터링 활동 전개
○ 청정환경의 지표곤충인 반딧불이를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의 가치 공유
○ 맑은 물, 깨끗한 공기, 오염되지 않은 대지를 대변하는 환경지표 곤충 보호와 자 연 생태계 복원 실천
○ 자연훼손과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 교육개요
○ 교육기간 : 7월18일∼7월22일(5강/10시간) 15:00-17:00
○ 교육장소 : 명지대학교 내 강의실(추후 공지)
○ 교육대상 : 경기도민, 자연 해설가 등 관심있는 분 20명
○ 교육내용 : 반딧불이 보존 활동 흐름과 방향, 맹산 반딧불이 보존사례, 반딧 불이의 생태와 문화, 반딧불이 서식지 조사 및 모니터링 방법, 서식지 복원, 서식지 조사 및 모니터링 실습
◇ 교육생 모집
○ 신청기간 : 6월29일∼7월13일
○ 신청방법 : 신청서를 작성하여 이메일이나 팩스 제출
- 신청서 다운로드(센터 홈페이지 www.ggec.or.kr)
- 이메일 : hellen0521@naver.com
- 팩 스 : 031- 336-1429 / 문의 : 031-336-1439
○ 교육홍보 : SNS, 홈페이지, 기관협조, 이메일, 팝업창 문자발송
◇ 교육프로그램
| 
			 
 차시 
  | 
			
			 날짜 및 시간  | 
			
			 내용  | 
			
			 지도 방법  | 
			
			 강사  | 
		
| 
			 
 1 
  | 
			
			 7/18(월) 15:00~17:00  | 
			
			 반딧불이 보존 활동 흐름과 방향  | 
			
			 이론  | 
			
			 유진수  | 
		
| 
			 
 2 
  | 
			
			 7/19(화) 15:00~17:00  | 
			
			 맹산 반딧불이 보존사례  | 
			
			 이론  | 
			
			 정병준  | 
		
| 
			 
 3 
  | 
			
			 7/20(수) 15:00~17:00  | 
			
			 반딧불이 생태와 문화  | 
			
			 이론  | 
			
			 박해철  | 
		
| 
			 
 4 
  | 
			
			 7/21(목) 15:00~17:00  | 
			
			 반딧불이 서식지 조사 및 모니터링 방법, 서식지 복원  | 
			
			 이론  | 
			
			 김영규  |